- 의사결정의 개요
- 경쟁업체와 차별화, 고객을 위한 가치 창조
- 어디서 돈이 새는지 알아야 한다.
- 협력업체체계 : 전체에 걸친 원가를 고려
- 제품의 원가, 품질, 납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
- 관련 원가 : 대안들 사이에서 차이가 있는 미래 기대 원가
- 증분원가 : 두 대안들 사이에 원가의 차이
- 매몰원가 : 이미 발생하여 변동될 수 없는 원가\
- 의사결정에서 관련원가를 찾아내야함, 매몰원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
- 의사결정 사례
- 공헌이익 : 판매가 - 변동원가
- 손익분기점 = 공헌이익 = 고정원가
- 고정원가를 커버하는데 공헌
- 손익분기점 이후에는 이익 증진에 공헌
- 단기에는 고정원가가 장기가 되면 회피 가능
- 장기에는 단기 고정원가가 회피 가능한 관련원가로 변함
- 단기에는 증분 수익 > 증분 원가로 의사결정
- 장기에는 총수익 > 총원가
- 단기적으로 공헌이익 > 0이면 사업 진행
- 임대계약 갱신시점에는 순이익 > 0 여부를 판단
- 공헌이익 : 판매가 - 변동원가
- 손익분기점
- 매출 수익과 매출 원가를 일치시켜 주는 점
- 손실에서 이익으로 전환되는 시점
- 손익분기점이 낮아진다면 이익은 높아지고, 영업 위험은 낮아진다.
- 손익분기점 판매량 = 고정원가 / 단위당 공헌이익
- 목표이익조업도
- (고정원가 + 목표이익) / 공헌이익
- 안전한계매출액
- (예상매출액 - 손익분기점 매출액) / 예상 매출액, 분자의 차이가 클 수록 안전함
- 책임중심점 : 특정 경영자가 책임을 지는 하부조직단위
- 통제권환과 관리 책임이 명확히 정의 되고 이해
- 성과 표준은 반드시 적정하게 결정되고 정의
- 통제 가능한 항목만을 포함
- 원가 중심점
- 투자 시설은 주어짐
- 영업권은 없음
- 원가에 대해서만 책임이 있음
- 원가 절감
- 생산부, 관리부
- 이익 중심점
- 벌어들인 수익과 발생한 원가 책임
- 이익에 책임을 부담
- 투자시설은 주어짐
- 영업권부여, 제조권한부여
- 영업이익률, 영업이익
- 제품사업부
- 투자 중심점
- 수익, 비용뿐만 아니라 투자에 대해서도 책임이 있음
- 독립기업과 같이 활동한다
- 영업권, 제조권한 부여
- 투자 이익률, 잔여이익
- 대기업 사업부, 독립채산제
- 표준원가 : 목표로 미리 설정한 원가
- 차이분석모형
- 실제 투입량 * 실제 가격 - 실제 투입량 * 표준 가격 = 가격차이
- 실제 투입량 * 표준 가격 - 표준 투입량 * 표준 가격 = 수량(시간)차이
- 노무원가 차이분석
- 실제투입시간 * 실제임률 - 실제투입시간 * 표준임률 = 임률차이
- 실제투입시간 * 표준임률 - 표준투입시간 * 표준임률 = 능률차이
- 차이분석모형
요약)
기업성공의 열쇠는 경쟁업체와 차별화하면서, 고객을 위한 가치 창조하는데 있으며, 이를 위해서 전략을 선택한다.
관련원가는 대안들 사이에서 차이가 있는 기대원가 또는 수익
공헌이익 = 판매가 - 변동원가
단기적으로 공헌이익 > 0인 경우 사업을 계속하여야 하나, 장기적으로는 설비 투자 또는 임대계약 갱신시점에는 순이익 > 0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.
손익분기점은 매출 수익과 매출 원가를 일치시켜 주는 점
즉, 생산 초기의 손실에서 이익으로 전환되는 시점
손익분기점 판매량 = 고정원가 / (판매가격 - 변동원가)
책임중심점은 특정 경영자가 책임을 지는 하부조직단위로 원가중심점, 이익중심점, 투자중심점이 있다.
표준원가는 목표로 미리 설정한 원가로 차후에 목표치와 실제치가 얼마나 잘 대응하는가를 평가하는데 사용한다.
'학교 수업 > 회계와 사회 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회계와 사회 생활] 7장 (0) | 2022.06.11 |
---|---|
[회계와 사회 생활] 5장 (0) | 2022.06.11 |
[회계와 사회생활] 3장 (0) | 2022.04.23 |
[회계와 사회생활] 2장 (0) | 2022.04.22 |
[회계와 사회 생활] 1장 (0) | 2022.04.22 |